The Rise of New Slang in Korea
Korea is increasingly shortening words and creating new slang. A few years ago, a friend jokingly told me, “You need to learn the lingo before visiting Korea, or you might not understand what people are saying.” At first, I laughed it off as ridiculous, thinking, "Why would anyone have trouble understanding Korean?" But soon, I realized it wasn’t a joke. Both Korean and English words are being shortened, and new slang terms are popping up. At times, they feel incomprehensible to me.
This trend started even before I left Korea—more than 15 years ago. One of the first shortened terms I encountered was "mul-naeng" and "bi-naeng," referring to mul-naengmyeon (cold buckwheat noodles) and bibim-naengmyeon (spicy mixed noodles). These words weren’t long to begin with, so I couldn’t understand why people felt the need to shorten them. Was speaking the full term really so inconvenient? It seemed like a reflection of Korea’s "pali-pali" (hurry-up) culture, where everyone rushes to save time, even with language.
This phenomenon wasn’t limited to food. On the internet, people started saying "방가방가" (bang-ga bang-ga) instead of "반가워" (bang-ga-wo), meaning “nice to meet you.” Was this an abbreviation or just playful language? It’s hard to say. Either way, it was clear that Koreans had a growing tendency to shorten their words.
Curious about why this was happening, I turned to Google for answers. One source explained, “Many students use abbreviations to type faster on mobile devices, social media, or in online chatrooms. Some also say that abbreviations are easier to understand and more fun than standard expressions.”
While these reasons make sense, I can’t help but feel that this trend undermines the beauty and value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was carefully crafted by King Sejong. If this continues, future generations might struggle to understand the language we use today or the literature of the past.
What’s more concerning is that these shortened words are no longer limited to the online world; they’re being spoken in everyday life. It reminds me of people who get so immersed in virtual gaming that they can’t separate reality from the digital world. Now, language seems to be hea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an adult, this trend worries me.
Instead of teenagers understanding our language, we adults might be forced to learn theirs. If we don’t,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could lead to a breakdown in communication. Even bad language gets abbreviated, making it hard to tell whether an expression is vulgar or just cute. This blurring of lines might make people inadvertently use offensive terms without realizing it.
Living in the U.S., I find it increasingly challenging to keep up with Korean slang. At times, the gap feels larger than a simple generational difference. English also has its share of abbreviations, and some are downright amusing. For example, I recently heard the term "캐바캐" (kae-ba-kae) on the radio. It stands for "case by case." Can you imagine? Some terms are easy to guess, but others feel like solving a riddle. If I’m lucky, I can figure it out right away. If not, the answer is so unexpected that I can only shake my head in disbelief.
At first, I thought this trend was just a fun novelty. But now, there are so many slang terms that it feels like we need a dedicated dictionary to keep track of them.
Take coffee shop orders as an example. You’ll hear people saying, “아아 주세요(give me Ah-Ah),” “뜨아 주세요,(Give me DDeu-Ah)” or “나는 얼죽아야.(I am Uljuk-Ah) ” ("Please give me an iced Americano," "a hot Americano," or "I’m the type who drinks iced Americano even if I freeze to death.") Hearing these phrases, I can’t help but wonder, "Am I really getting old?"
Before my next trip to Korea, I may need to brush up on these slang terms to fit in. I don’t want to be labeled as “that clueless person from abroad.” But deep down, I’d rather teach my children the importance of proper Korean language. As Koreans, it’s our duty to honor and preserve the language gifted to us by King Sejong.
New slang may be fun and trendy, but it’s crucial to balance it with an appreciation for the rich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ean language. As adults, it’s our 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future generations understand and value this heritage.
신조어
한국은 점점 말을 줄여서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낸다. 몇년전에 친구가 말했다. 한국에 가기전에 말을 배워서 가야한다고. 한국에 가면 사람들이 하는 말을 못알아 들을 수도 있다고. 처음엔 뭐? 하며 너무 웃긴다고 생각했다. 한국어도 줄이고 영어도 줄이고... 신조어라곤 하는데 이해가 되질 않았다.. 길지도 않은 말을 줄이기도 하니깐.. 내가 미국으로 오기전부터 시작되었다. 15년은 더 전부터.. 내가 제일 먼저 들은 말은 물냉, 비냉 이었다. 사람들은 물냉면, 비빔냉면을 줄여서 하는 말이었다. 아니 길지도 않은말을 왜 줄이지? 그렇게도 말하기 귀찮은걸까? 모든지 빨리 빨리 라고 외치는 사람들, 너무나 급한 사람들이 만들어낸 신조어 같았다. 또한 컴퓨터상에서 사람은 반가워 대신에 방가방가라고 말했다. 이건 줄이는 말이 아닌 귀엽게 말하는 말인가? 이젠 헷갈리네.. 아무튼. 한국사람들은 말을 줄여서 말하기 시작했다. 이유가 궁금했다. 왜 줄이는 걸까.. 구글에서 서치를 해보니 "상당수 학생이 휴대전화 메세지나 SNS, 인터넷 채팅창, 온라인 게임상에서 빨리 타자를 치기 위해 줄임말을 쓴다고 답했습니다. 또는 표준 단어보다 이해하기 쉽고 재밌다는 이유로 줄임말을 쓰는 청소년도 있어요" 라고 나왔다. 그런데 이런이유로 말을 줄이다 보니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의 가치를 훼손하는것 같다. 이러다가 미래에는 지금 어른들이 쓰고 있는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책에 나오는 말의 이해능력이 떨어질것 같다. 컴퓨터상에서 하던 말들이 현실에서 쓰여지고 있으니.. 컴퓨터 게임을 하면서 이게 현실인지 가상세계인지도 구분못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걱정했던 기억이 나는데 이제 언어도 그렇게 되고 있으니 어른된 입장에선 걱정이 앞선다. 10대들이 우리의 말을 이해하기보다 우리가 그들의 언어를 습득하게 될것 이고 그렇지 않을경우엔 서로 대화가 줄어들것이다. 나쁜 말도 줄이고 좋은 말도 줄이고... 나쁜말도 줄이고 나니 이게 나쁜말인지 귀여운 말인지 모르겠고 못알아들으니 웃으며 비속어를 하는 느낌이랄까. 줄인 말들을 하는게 이상하지 않고. 이렇게 미국에 나와서 사니 한국에 사람들의 말이 잘 이해가 안되고 어려워 진다. 이걸 단지 세대 차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영어도 줄여서 말하니 어쩔때는 웃음이 나온다. 캐바캐 라는 말을 오늘 라디오에서 들었다. 캐바캐? 이게 뭐지? 상상이 가는가? 이건 Case by case를 줄여서 하는 말이다. 어떤말을 들으면 수수께끼라도 풀듯이 궁금증이 증폭한다. 운이 좋으면 단번에 맞추고 아니면 도저히 상상도 안가는 답이 나온다. 고개를 절래 절래 흔들게 되는것이다. 처음엔 몇개 되지 않아 그냥 재미로 하나보다 싶었는데 이제는 너무 많은 말들이 나와 신종어 사전이 나올판이다. 커피샾에 가면 사람들이 아아주세요 뜨아 주세요 아니면 나는 얼죽아야 라고 말한다. 아아? 뜨아? 이런걸 들으면 내가 진짜 늙었나? 하고 느껴진다. (아아는 아이스 아메리카노, 뜨아는 뜨거운 아메리카노, 얼죽아는 얼어죽어도 아이스 아메이카노 라는 뜻이다) 내년 여름에 한국가기전에 아이들과 신세대인척 하며 한국말 공부를 해야할것 같다. 미국에서 온 촌뜨기 라는 말을 듣지 않기 위해서는 한국을 이해하고 한국말에 익숙한척 신조어를 말에 섞어가며 써야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우리아이들에게 그런 신조어보다는 우리는 한국사람으로써 세종대왕이 만들어준 한국어를 제대로 가르치고 싶다. 그것이 우리 어른이 할 행동이 아닐까.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