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나의 학교생활

Writer's picture: AMY AHNAMY AHN

School Life in Korea


My high school

I attended school in Korea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In Korea, kindergarten is not part of compulsory education. While many children do go to kindergarten, it’s not considered a requirement. Nowadays, due to low birth rates, the government provides subsidies to encourage children to attend kindergarten, but during my childhood, there was no such support.

Starting from elementary school, education becomes compulsory and free of charge. In my parents’ generation, however, students had to pay tuition fees, and those who couldn’t afford it were sometimes forced to drop out. My father was one of those who couldn’t pay, so he couldn’t attend school for two years. Hearing stories like this makes me realize how much easier life is for us today.

In Korea, the education system consists of 6 years of elementary school, 3 years of middle school, and 3 years of high school. When I was a student, there was a test called the High School Entrance Exam (고입선발고사). This test was abolished in 2017, but back then, failing it meant you couldn’t go to high school. I still remember being so worried about that test!

On the first day of high school, students receive all the textbooks they will need for the year. There were about 10 to 15 books, including four Korean language textbooks, English, math, science, Korean history, world history, and many more. Seeing that huge pile of books was overwhelming, and I wondered how I’d manage to study all of them in a year. But in the end, we covered every single one.

High school was intimidating at first. The strict teachers, the new environment, and the sheer volume of studying made me anxious. I had subjects like Chinese characters, home economics, and science, which included chemistry, physics, biology, and earth science—all mandatory. We also had to learn English and another foreign language. At that time, most girls studied French, and boys studied German. These days, students can choose from various languages like Japanese and Chinese.

In Korea, the curriculum includes both mandatory and elective subjects, but in practice, most subjects are mandatory. I’ve heard that today’s students have mo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responsibilities than we did. Of course, education shouldn’t only focus on academics. To grow into well-rounded individuals, students need more than just book knowledge. Still, as in the U.S., it’s hard to deny that a solid academic foundation is essential for success in today’s world. The key is to strike the right balance.

As I grow older, I find myself missing those school days. Watching my daughter, who is in middle school, and my son, who is in high school, brings back so many memories. Back then, staying up late to study, struggling with difficult textbooks, and laughing or crying with friends over exam results felt like such a challenge. But now, they’re cherished memories.



School life isn’t just about studying. Building friendships is just as important. Those were the days when we shared unforgettable moments—buying tteokbokki and milk at the school snack shop, secretly reading comic books during class, or stealing glances at a boy I liked. Even getting scolded for not doing homework is a fond memory now. Simply having a sense of belonging to a group made those times special.

Back then, I couldn’t wait to grow up. But now that I’m an adult, I often wish I could go back to those days. I know I’m not alone in feeling this way. The school years hold a unique and precious place in everyone’s heart.

Looking back on my school life in Korea, I can’t help but feel nostalgic. Who would’ve thought those challenging, beautiful days would become such a treasured part of my memories?


한국의 학교생활

나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한국에서 학교를 다녔다. 한국은 유치원이 의무교육이 아니다. 물론 많은 아이들이 유치원에 다니지만, 유치원을 다니지 않았다고 해서 의무교육을 받지 않은 것은 아니다. 요즘은 저출산 문제로 인해 정부에서 유치원 지원금을 주고 있지만, 나의 어린 시절엔 그런 제도는 없었다.

초등학교부터는 의무교육이 시작되어 학비를 내지 않아도 된다. 우리 부모님 세대에는 학교를 다니기 위해 학비를 내야 했다고 한다. 가난한 집 아이들은 학비를 내지 못하면 학교에서 쫓겨나기도 했다. 우리 아버지도 너무 가난해서 2년 동안 학교를 다니지 못하셨다고 한다.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 우리가 참 편한 세상에 살았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의 학제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가 고등학교에 올라갈 땐 ‘고입선발고사’라는 시험이 있었다. 이 시험은 2017년에 폐지되었다고 하지만, 당시에는 이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 없었다. 그래서 시험이 다가올 때마다 긴장하고 걱정했던 기억이 난다.

고등학교 첫날, 학생들은 1년 동안 배울 교과서를 받는다. 국어 교과서만 4권, 영어, 수학, 과학, 한국사, 세계사 등 다양한 과목의 교과서를 포함해 10~15권 정도의 책을 받는다. 이렇게 많은 책을 1년 동안 다 공부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들었지만, 결국 하나도 빠짐없이 다 배우게 된다.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무서운 선생님들과 낯선 분위기, 그리고 방대한 양의 공부 때문에 긴장하곤 했다. 나는 고등학교에서 한자, 가정과학, 그리고 과학 과목으로 화학, 물리, 생물, 지구과학을 배웠다. 영어와 다른 외국어도 배웠는데, 당시에는 여학생은 불어, 남학생은 독일어를 배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지금은 일본어, 중국어 등 선택의 폭이 다양해졌다고 들었다.

한국의 교육과정은 미국처럼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과목이 필수로 이뤄져 있었다. 현재 한국의 학생들은 공부 외에도 해야 할 일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물론 공부만 해서는 안 된다. 바른 인성을 가진 사람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부와 더불어 다양한 경험도 중요하다. 하지만 공부 또한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되는 현실이니, 균형을 잘 맞춰야 한다.

이제 나이가 들고 보니, 그 시절이 그리울 때가 많다. 중학교에 다니는 딸아이, 고등학교에 다니는 아들을 보며 나의 학창시절이 떠오른다. 시험공부로 밤을 새우고, 어렵기만 한 교과서와 씨름하며, 시험 결과를 보고 친구들과 울고 웃었던 시간들이 이제는 추억으로 남았다.

학교생활은 공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친구들과의 관계도 소중하다. 그 시절에만 느낄 수 있는 우정과 즐거움이 있다. 매점에서 떡볶이와 우유를 사 먹고, 수업 시간에 선생님 몰래 만화책을 읽고, 좋아하는 남자아이를 힐끔거리며 쳐다보던 순간들. 숙제를 안 해 선생님께 혼나던 일들. 어딘가에 속해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했던 그 시절이 새삼 그립다.

그땐 빨리 어른이 되고 싶었지만, 막상 어른이 되고 보니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은 나만의 그리움이 아닐 것이다. 학창 시절의 추억은 누구에게나 아름답고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한국에서 보낸 나의 학창 시절이 이토록 그리울 줄이야.

2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신조어

Comments


bottom of page